11022번: A+B - 8
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"Case #x: A + B = C" 형식으로 출력한다. x는 테스트 케이스 번호이고 1부터 시작하며, C는 A+B이다.
www.acmicpc.net
문제
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, A+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
각 테스트 케이스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으며, 각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. (0 < A, B < 10)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"Case #x: A + B = C" 형식으로 출력한다. x는 테스트 케이스 번호이고 1부터 시작하며, C는 A+B이다.
내 소스
T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1, T+1):
A, B = map(int, (input().split(" ")))
print("Case #{0:d}: {1:d} + {2:d} = {3:d}".format(i, A, B, A+B))
A+B를 출력하는 유형의 문제들이 여러가지가 있는데, 초반에는 단순히 결과 값만을 출력하는 거였다면 뒤로 갈수록 출력해야 하는 것들이 복잡했다. 그래서 더 더 더 더!!! 아름답게 하라는 건가보다ㅎㅋ 아무튼 처음에는 print(“Case #” + str(i) + “: “ + str(A+B)) 이런식으로 풀었는데, 출력해야하는 문자열들이 늘어나다보니 쓰기가 불편해졌다. 그래서 포맷팅을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했다.
※잠깐! 포매팅은 문자열 내에서 어떤 값이 들어가길 원하는 곳을 {}로 표시하는데 {}안의 숫자들은 format 인자들의 인덱스를 사용한다. 그래서 {0}은 첫 번째 인자, {1}은 두 번째 인자를 나타낸다.
다른 사람들이 푼 코드들을 보면 “Case #%d: %d + %d = %d” 혹은 “Case #{}: {} + {} = {}” 이런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. 물론 포맷팅을 사용하지 않고도 풀 수 있다. print(‘Case #’,i+1,’: ‘,a,’ + ‘,b,’ = ‘, a+b, sep=’’)
'PS(Problem Solving)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0871번 X보다 작은 수 (Python) (0) | 2020.04.06 |
---|---|
[백준] 2439번 별 찍기 - 2 (Python) (0) | 2020.04.04 |
[백준] 2438번 별 찍기 - 1 (Python) (0) | 2020.04.04 |
[백준] 15552번 빠른 A+B (Python) (0) | 2020.04.02 |
[백준] 2739번 구구단 (Python) (0) | 2020.04.02 |